각종 수처리 문제를 설계, 시공, 관리하는
종합 수질 관리 회사입니다.
프리필터를 거친 입구공기(포화습공기)는 압려에 의해 작동되는 하부 셔틀밸브에 의해 방향이 결정되어 한쪽 Vessel로 흐르면서, -40℃ 노점까지 제습되어
이때 건조공기의 일부는 퍼지 에어 오리피스를 거쳐 감압되어 반대쪽 Vessel로 유입되고 이전 사이클에서 제습기 젖은 흡착제를 재생시킨 후 타이머에 의해
일정기간이 지나 재생이 완료되면 퍼지 밸브는 닫히고 Vessel 내부의 에어 압력이 상승되어 반대쪽 퍼지 밸브가 열리면서 역순으로 제습,재생이 반복되어
압축공기는 입구 밸브 (A)를 통해 제습 상태의 Vessel A로 하부에서 상부로 들어가서, 흡착제에 의해 -40℃ 이슬점까지 제습된 후 체크밸브와 배관 (E)를 통해서
청정 건조공기로 배출되어 현장에 공급된다.
재생 과정의 Vessel B는 밸브 (B)가 닫히고 머플러 (C)가 열리면서 감압이 된다. 그 후 밸브 (D)가 열리며 퍼지 조절밸브 (F) 통해 들어온 건조공기 중 일부
(퍼지에어)를 가열하여 밸브 (G)를 통해 뜨거워진 공기를 공급하여 재생 Vessel B 내부의 흡착제가 함유하고 있는 수분을 제거한다.
이때, Purge Saving Kit (H)가 작동하면서 외부의 공기를 같이 흡입하여 공급하므로 퍼지 에어의 양이 증가되고 압축공기의 사용을 줄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 Purge Saving Kit (선택사양)
이렇게 재생 과정의 Vessel B에서 흡착제를 재생, 건조한 후 젖은 공기는 퍼지 출구 밸브(D)를 통해 대기로 방출된다. 오른쪽 페이지의 작동 원리는 Vessel A는
제습 공정, Vessel B는 재생 공정 상태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가열 공정이 종료되면 히터는 자동적으로 정지하여 냉각 공정이 시작되고, 냉각 공정이 끝나면 가압되어, 제습 Vessel이 제습 공정을 완료할 때까지 대기상태
가 된다. 이후 컨트롤러에 의해 밸브 (B)가 열리고 밸브 (A)가 닫히면 Vessel change가 일어나고, Vessel A는 재생과정에 들어가면서 Vessel B로 제습은 계속된다.
압축공기는 드라이어 상부의 밸브를 통하여 양쪽 Vessel에 모두 들어가서 일시적으로 병렬 제습하게 된다.
재생을 위해 한 쪽 Vessel의 입출구 밸브가 닫히면서 블로워와 히터가 작동되며 다른 Vessel의 재생이 시작된다.
블로워와 히터를 사용하여 재생이 완료되면 히터는 꺼진 상태에서 블로워를 통해 냉각을 시키며 다음 제습 싸이클을 준비한다.
Vessel A의 제습이 끝나는 시점에서 다시 병렬 제습이 일어나고 이후 같은 순서로 Vessel A의 재생이 실행된다.
컴프레서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압축공기를 애프터쿨러의 입구 또는 출구에서 분리하여 70%는 제습과정으로 보내고 나머지 30%는 재생
(가열 및 냉각)에
사용한 후 다시 제습과정에 사용하므로 컴프레서에서 생산한 압축공기 유량을 전부 사용한다.
애프터쿨러에서 분리된 고온의 공기는 히터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재생 중인 Vessel로 들어가 흡착제를 가열하여 재생시킨다. 이렇게 해서
나온 습한 공기는
재생쿨러에서 냉각되고 수분분리기를 거쳐 제습 중인 반대편 Vessel로 유입된다.
가열을 완료한 Vessel은 냉각을 시작하는데 애프터쿨러 출구의 냉각된 공기가 그 Vessel로 들어가 흡착제를 냉각시킨다. 이렇게 해서 배출된
공기는 재생쿨러에서
다시 한 번 냉각되고 수분분리기를 거쳐 제습 중인 Vessel로 유입된다.
냉각을 완료한 Vessel은 스탠바이 상태가 되고, 설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또는 Dew Point Meter & Demand Control에서 최적의 전환시점을
결정할 때까지
기다린 후) 다시 Vessel 전환되고 제습을 시작한다..
고온의 습포화 입구공기가 증발기에서 노점까지 냉각된다. 이때 응축된 응축수는 오토 드레인 밸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노점까지 냉각된 압축공기는 리히터에서 응축기의 출구 쪽 냉매와 열 교환으로 인해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상대습도는 더욱 낮아진다.
냉동 컴프레서에서 압축된 후 응축기에서 냉각된 냉매는 정압식 팽창밸브에 의해서 냉각부하가 적절히 조절된 후 증발기로 보내어 진다.
정압식 팽창밸브에서 감압,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에서 기화하면서 압축공기의 열을 빼앗고 이 과정에서 압축공기 중 대부분의 수증기는 물로 응축되어 세퍼레이터 및 오토 드레인 밸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고온의 포화된 압축공기가 열교환기의 입구로 유입되면 1차로 차가운 출구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예냉된다.
이렇게 1차 예냉된 공기는 열교환기의 내부 유로를 따라 증발기로 이동하여 차가운 냉매와 본격적인 열교환을 한다.
증발기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바로 세퍼레이터에서 압축공기와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되고, 분리된 공기는 다시 리히터를 통과하면서 재가열되어
에어 드라이어를
빠져나가 건조한 양질의 압축공기로 공급된다.
공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고온의 압축 공기가 드라이어로 들어오면 애프터쿨러에서 1차 냉각이 되고, 이 때 발생한 응축수 및 불순물은 전단 필터/세퍼레이터를 통해 제거된다.
1차 냉각된 공기는 판형 열교환기의 프리쿨러에서 냉각 제습된 공기와 열교환하면서 2차 예냉이 되고 다시 증발기에서 냉매에 의해 노점까지 냉각된다.
완전히 냉각된 공기는 세퍼레이터를 거치면서 응축수가 배출되고, 리히터에서 고온의 입구 공기와 열교환하면서 온도가 상승하여 상대 습도가 낮아진다.
제습된 공기는 후단 필터에서 잔여 유분이 제거되고 드라이어에서 흘러 나가게 된다.
냉매는 냉동 컴프레서에서 압축 후 응축기에서 냉각되고 팽창밸브에서 감압, 팽창해 증발기로 보내진다.
증발기 내에서 압축공기를 냉각시키고 기화된 냉매는 다시 냉동 컴프레서로 흡입된다.